말씀의 초대
하느님께서는, 사람이 혼자 있는 것이 좋지 않으니, 그에게 알맞은 협력자를 만들어 주겠다고 하신다(제1독서). 예수님께서는 자기 딸에게서 마귀를 쫓아내 달라며 자신을 낮춘 이교도 여인의 청을 들어주신다(복음).
제1독서
<주 하느님께서 여자를 사람에게 데려오셔서 둘이 한 몸이 되게 하셨다.>
▥ 창세기의 말씀입니다.
2,18-25
18 주 하느님께서 말씀하셨다.
“사람이 혼자 있는 것이 좋지 않으니, 그에게 알맞은 협력자를 만들어 주겠다.”
19 그래서 주 하느님께서는
흙으로 들의 온갖 짐승과 하늘의 온갖 새를 빚으신 다음,
사람에게 데려가시어 그가 그것들을 무엇이라 부르는지 보셨다.
사람이 생물 하나하나를 부르는 그대로 그 이름이 되었다.
20 이렇게 사람은 모든 집짐승과 하늘의 새와 모든 들짐승에게
이름을 붙여 주었다.
그러나 그는 사람인 자기에게 알맞은 협력자를 찾지 못하였다.
21 그래서 주 하느님께서는 사람 위로 깊은 잠이 쏟아지게 하시어
그를 잠들게 하신 다음,
그의 갈빗대 하나를 빼내시고 그 자리를 살로 메우셨다.
22 주 하느님께서 사람에게서 빼내신 갈빗대로 여자를 지으시고,
그를 사람에게 데려오시자, 23 사람이 이렇게 부르짖었다.
“이야말로 내 뼈에서 나온 뼈요 내 살에서 나온 살이로구나!
남자에게서 나왔으니 여자라 불리리라.”
24 그러므로 남자는 아버지와 어머니를 떠나 아내와 결합하여,
둘이 한 몸이 된다.
25 사람과 그 아내는 둘 다 알몸이면서도 부끄러워하지 않았다.
주님의 말씀입니다.
◎ 하느님 감사합니다.
복음
<상 아래에 있는 강아지들도 자식들이 떨어뜨린 부스러기는 먹습니다.>
✠ 마르코가 전한 거룩한 복음입니다.
7,24-30
그때에 24 예수님께서 티로 지역으로 가셨다.
그리고 어떤 집으로 들어가셨는데,
아무에게도 알려지기를 원하지 않으셨으나 결국 숨어 계실 수가 없었다.
25 더러운 영이 들린 딸을 둔 어떤 부인이 곧바로 예수님의 소문을 듣고 와서,
그분 발 앞에 엎드렸다.
26 그 부인은 이교도로서 시리아 페니키아 출신이었는데,
자기 딸에게서 마귀를 쫓아내 주십사고 그분께 청하였다.
27 예수님께서는 그 여자에게, “먼저 자녀들을 배불리 먹여야 한다.
자녀들의 빵을 집어 강아지들에게 던져 주는 것은 옳지 않다.” 하고 말씀하셨다.
28 그러자 그 여자가, “주님, 그러나 상 아래에 있는 강아지들도
자식들이 떨어뜨린 부스러기는 먹습니다.” 하고 응답하였다.
29 이에 예수님께서 그 여자에게 말씀하셨다.
“네가 그렇게 말하니, 가 보아라. 마귀가 이미 네 딸에게서 나갔다.”
30 그 여자가 집에 가서 보니,
아이는 침상에 누워 있고 마귀는 나가고 없었다.
주님의 말씀입니다.
◎ 그리스도님 찬미합니다.
오늘의 묵상
오늘 복음에 등장하는 예수님과 이방 여인의 만남에, ‘만약’이라는 가정을 해 봅니다. 만약 이 여인이 예수님의 소문을 듣지 못하였다면, 만약 예수님을 찾아가지 않았다면, 만약 자신의 딸에게서 마귀를 쫓아내 주십사고 예수님께 청하지 않았다면, 만약 예수님께 들은 모욕적인 말에 기분이 상하여서 예수님을 바로 떠났다면 어떠하였을까요. 네 번의 ‘만약’ 가운데 하나라도 이루어졌다면, 그녀는 바라는 것을 얻지 못하였을 것입니다.
한 번도 아닌, 네 번에 걸친 ‘만약’이라는 관문을 이 여인은 통과합니다. 네 번의 관문은 그것이 진행될수록 점점 견디기 어려워집니다. 적극적으로 찾아 듣지 않아도 소문은 들려옵니다. 철저하게 수동적인 자세입니다. 소문을 듣고 예수님을 찾아갈 때부터 능동적인 행동이 됩니다. 얼마나 먼 거리를 걸어갔는지는 알 수 없지만, 여인이 이방인 남자인 예수님을 찾아간다는 것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니었습니다. 그렇게 찾아간 곳에서 예수님께 자신이 원하는 것을 청하는 것은 더 어려운 일이었습니다. 그리고 그 관문은 절정을 향하여 갑니다. 자신을 강아지에 비유하는 예수님의 모욕이 남았습니다. 점점 어려워지는 관문이었지만, 그 여자는 예수님에 대한 강한 믿음으로 이것을 통과합니다.
이 시리아 페니키아 여자가 보여 준 것처럼, 예수님께 나아가는 우리의 길에도 ‘만약’이라는 관문이 놓여 있습니다. 우리의 믿음은, 우리 앞에 놓인 관문을 이겨 낼 수 있을 만큼 견고한가요? 아니면 나의 귀찮음과 불편함 때문에, 또 나의 자존심을 상하게 만드는 모욕감 때문에, 예수님을 향한 여정을 쉽게 포기하고 있지는 않은가요? 몇 개의 관문이 우리 앞에 있을지는 모릅니다. 그러나 우리 앞에 놓인 ‘만약’의 관문을 넘어서야만 우리는 예수님과 진실된 만남을, 아울러 그분께서 선사하시는 구원을 체험할 수 있을 것입니다.
(박형순 바오로 신부)
'[오늘의 말씀]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녹] 연중 제5주간 토요일 또는 [백] 복되신 동정 마리아 2/13 (0) | 2021.02.13 |
---|---|
[백] 설 2/12 (0) | 2021.02.12 |
[녹] 연중 제5주간 목요일 또는 [백] 루르드의 복되신 동정 마리아 2/11 (0) | 2021.02.11 |
[백] 성녀 스콜라스티카 동정 기념일 2/10 (0) | 2021.02.10 |
[녹] 연중 제5주간 화요일 2/9 (0) | 2021.02.09 |
[녹] 연중 제5주간 월요일 또는 [백] 성 예로니모 에밀리아니 또는 [백] 성녀 요세피나 바키타 동정 2/8 (0) | 2021.02.08 |
댓글을 달아 주세요